Comment on page

12. Token Economics & Fund

Web2 와 Web3 유저를 모두 아우르는 보상 정책을 통한 넓은 타겟 확장

릴리어스의 생태계 보상에는 토큰 보상인 LLT와, 일반 보상인 포인트가 있습니다. 일반 Web2 유저들에게 익숙한 포인트 제도와 Web3 타겟인 토큰 보상을 함께 병행, 일반 앱테크 유저들과 dAPP 및 Web3 고객을 함께 유치함으로써 더욱 넓은 유저층을 확보할 예정입니다.

릴리어스 Web3 참여자에게 LLT 토큰 보상으로 지속적인 생태계 참여 유도

LLT 토큰은 릴리어스의 블록체인 생태계에 사용되는 토큰이며, 유저들의 챌린지와 트레이닝을 통해 보상으로 지급됩니다. LLT 토큰은 릴리어스 공식 NFT를 보유하고 있는 보유자들에게만 리워드로 지급됩니다. 유저는 획득한 LLT를 APP 내에서 본인이 소유한 가상 자산 지갑으로 Claim 할 수 있습니다. LLT는 릴리어스와 함께 운동 콘텐츠를 제공한 선수들에게도 보상으로서 지급됩니다. 유저는 릴리어스 NFT 구매 및 NFT 업그레이드, 연계되는 콘텐츠 커머스의 결제 수단으로 LLT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 Claim 절차 : 트레이닝/챌린지 진행 ▶ 70점 이상 점수 획득 ▶ 오프체인 LLT 지급 ▶ Claim 버튼을 통한 온체인 LLT 획득

LLT의 정의

  • 정의 : 릴리어스 블록체인 생태계의 통화수단인 메인 토큰으로 Polygon 체인을 통해 발행된 릴리어스의 주 디지털 화폐입니다.
  • 대상 : 릴리어스 APP 내에서 LLT를 획득할 수 있는 대상은 릴리어스 NFT 보유자 중 릴리어스 APP에서 디지털 지갑을 연결하고 챌린지 및 트레이닝을 완료한 유저입니다.

포인트 보상 병행을 통한 유저풀 확대와 커머스 소모처 확보

포인트는 릴리어스 서비스 내에서 통용되는 리워드 제도이며, 릴리어스 챌린지 및 트레이닝 완료 시 지급받습니다. 지급받는 포인트의 양은 챌린지 및 트레이닝 참여에 필요한 에너지의 양과 동일하며 챌린지 및 트레이닝 성공 시 지급받는 포인트는 릴리어스 몰에서 “적립금”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포인트는 Web3 유저뿐만 아니라, Web2 유저들의 운동 참여를 높이기 위한 전략이며 Web2 유저의 Web3 온보딩 및 블록체인 생태계의 참여자로의 전환을 유도합니다. 포인트는 Token Allocation의 T2E 물량인 35% 내에서 배분됩니다.

각 리워드 별 보상 지급 정책

LLT 지급 정책
  • 월렛 연동 후 LILLI NFT를 보유한 유저가 챌린지 또는 트레이닝 콘텐츠를 진행할 때마다 해당 콘텐츠에 소모된 에너지의 수에 따라 특정 비율의 LLT가 보상으로 지급됩니다. 향후 이 비율은 인플레이션 방지 정책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향후 LILLI NFT를 보유한 유저만 참여 가능한 전용 챌린지를 개설할 예정입니다. 해당 챌린지를 달성하면 LLT를 보상으로 획득할 수 있습니다.
포인트 지급 정책
  • 릴리어스 APP에서 포인트는 일반유저, NFT 보유 유저 등 모든 유저를 위해 릴리어스가 제공하는 보상입니다.
  • 릴리어스 APP의 유저는 트레이닝 혹은 챌린지 콘텐츠에서 점수가 70점 이상이어야 통과하고 에너지를 소모한 것으로 간주하며, 콘텐츠에 소모된 에너지의 수량에 따라 정해진 릴리어스 정책 상의 포인트를 지급합니다.
  • LILLI NFT 혹은 구독권을 보유한 유저는 챌린지를 통해 추가적인 포인트를 지급받습니다.
  • 포인트는 LLT와 교환될 수 없습니다.
  • 포인트는 릴리어스 APP 내 ‘릴리어스 몰 적립금 교환’ 기능을 통해 릴리어스 몰의 적립금으로 교환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 포인트의 유효기간은 릴리어스 서비스가 상용화되는 기간 동안으로 제한하며, 유효기간에 대한 정책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적립금으로 교환한 포인트의 유효기간은 적립 일을 기준으로 1년이며, 유효기간 내 미 사용된 포인트는 소멸 예정일 0시 이후에 자동으로 소멸됩니다. (예시) 2020년 4월 1일 적립된 포인트는 2021년 4월 1일까지 사용 가능.